일상과 관련 있는 모든 경제 이슈

금융 시장에 반영되기 시작한 미국의 관세 리스크 본문

글로벌 경제/미국

금융 시장에 반영되기 시작한 미국의 관세 리스크

정답은 없다! 2025. 4. 8. 12:26

출처 : 내일은 투자왕 - 김단테

 

어제 미국 증시는 참으로 다이나믹 했습니다.

 

불과 15분 사이에 미국 S&P500의 주가가 크게 요동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AI 대장주라고 일컫는 엔비디아 같은 경우 10%가 넘는 변동성을 보이기도 했죠. 

 

결과적으로 어제 미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이면서 끝났는데요. 이는 각 국가별 협상에 대한 기대감 + 단기 과매도에 따른 매수세 유입의 결과였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트럼프의 관세 정책 때문에 전 세계 증시가 얼마나 급락했는지 바로 알 수 있을텐데요.

출처 : 한경글로벌마켓

 

사실, 앞으로 트럼프가 촉발시킨 미국 관세 정책의 향방과 이후 경제 미칠 파장이 얼마나 클지에 대해서는 사실 아무도 알 수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관세폭은 줄어들수 있지만, 이 정책을 취소시키지는 않으리라는 것입니다. 

 

이 같은 트럼프의 움직임에 미국 월가의 IB(투자은행, Invetment Banking)들을 포함한 수많은 경제학자들과 투자의 대가들은 하나같이 부정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죠.

 

실제로 어제 그런 모습들을 반영한 모습들이 금융시장에서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출처 : Investing.com

 

위에 보이는 이미지는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입니다. 어제 확 튀어 오르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미국 장기 국채금리 상승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장기물 국채 금리는 10년물~30년물을 의미)

 

 

첫째, 인플레이션 우려

 

관세 정책으로 인해 최소 2~3개월 이내에 물가가 오르기 시작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애플에서 판매되는 아이폰16이 현재 250불 가량에 구매할 수 있는데, 현재 발표된 정책이 그대로 시행되면 최소 330불 이상의 가격을 줘야 구매 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모든 물품의 가격이 올라간다고 하면 당연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둘째, 주가 급락으로 인한 마진콜 

 

지난번 포스트에서 금 가격 하락에 대해 설명하면서 마진콜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이 채권 역시 똑같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마진콜은 헤지펀드들이 은행에 담보를 제공하고, 레버리지를 일으킨 상태에서 투자 손실로 인해 추가증거금을 요구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유동성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미국의 채권을 매도하면서 미국 10년물 국채금리의 상승을 가져왔다는 의미입니다.

 

마진콜의 확대는 결국 시스템 리스크를 불러올 수 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채권시장에서는 자금경색이 심하다는 말도 들려오더군요. 

 

 

셋째, 중국 등 타국에서 미 국채를 매도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향후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인플레이션) +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추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전세계 국가들의 생각을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오늘 밤 부터 확인 가능한데요. 당장 오늘 밤에 3년, 10년, 30년물 채권을 경매에 부칩니다. 경매 결과에 따라 저 추측이 사실일지 아닌지 알 수 있겠죠. 

 

출처 : Investing.com

 

금융시장에서 이번 관세 정책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는 증거는 위에 보이는 금 선물 시장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오늘 금 선물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금은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이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향후 그 가치가 높다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즉, 앞으로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미국 금리인하 기대감도 반영된 것 같기는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금 가격은 조금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마진콜 이슈가 다시 발생 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아래를 보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출처 : Digital Today

 

향후의 전망을 떠나, 지금 당장 중요한 것은 미국과 중국, 그리고 EU의 협상입니다. 트럼프가 촉발한 미국의 관세 정책에서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EU와 중국입니다. 시장 규모도 규모이지만, 상징성 역시 굉장히 크다고 생각하거든요. 

 

어쨌거나 시장에서는 각 국가별 관세 협상에 대해 나름 긍정적으로 보는 것 같은데요.

 

실제 베트남을 비롯한 몇 개국에서는 이미 항복선언을 했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더욱 강하게 압박하는 것 같더군요. 게다가, 미국에서는 50개국이 협상과 관련해서 접촉해 오고 있다고 발표가 나오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그 생각에는 동의하기가 힘듭니다. 그 이유는 어떻게 보면 간단합니다. 

 

우선 중국의 경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을 상대로 '맞불 관세'를 발표한 중국에 5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죠. 과연 중국이 '네, 알겠습니다.' 하고 순순히 받아들일까요? 

 

저는 절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EU 역시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그렇게 순순히 동의하기는 힘들다고 보고 있구요. 

 

실제로 EU에서는 미국에 모든 공산품에 대한 관세 철폐를 제안하며 나름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EU에 부가세도 내릴 것을 요구하자 EU가 일축했다는 기사가 나온 상태이죠.

 

참고로 EU의 부가세는 1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EU 입장에서 본다면 절대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미국은 중국과 EU를 상대로 한 협상은 어려울 것이고 협상 시간 역시 관세 부과일인 내일을 넘길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게다가 EU 역시 보복관세를 부과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 봅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딱 한 가지 입니다. 길게보고 투자하자!  

조만간, 왜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대해 월가를 비롯한 많은 관계자들이 크게 우려를 표하는지 상세히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의 성공 투자를 기원합니다.